배움의 교육공동체를 추구하는 가교 역할!

교육 봉사 모임

[논문]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에 관한 실제적 접근(김세영, 2015)
  • 작성자 : 운영자
  • 등록일 : 2018-02-28
  • 조회수 : 1095

논문 요약

교사가 주어지는 교육과정을 교육활동(수업, 평가, 교재개발 등)에 직접 상용하기 시작할 때, 교사는 교육과정의 온전한 주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로 보고, Schwab의 실제적 접근에 따라 교육과정 리터러시가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리터러시라는 대상에 다각적인 관점을 적용하였다. 즉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보기 위해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다각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이론이 지니고 있는 유용성을 취함과 동시에 이론이 놓친 부분을 실제를 통해 탐색하였다.
먼저, 리터러시라는 개념 관련 문헌들을 검토하여, 교육과정 리터러시의 개념적 성격을 규정하였다. 이를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탐색을 위한 개념의 두 층위, 즉 어떤 것을 ‘읽고 쓰는 방식으로서 아는 것’과 ‘읽고 쓰는 방식을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탐색의 영역을 규정하였는데,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 교육과정 리터러시, 교육과정 가능성 등 교육과정 실행분야의 연구결과들에 기초해서 ‘학문→교육과정→교육과정 자료→수업’으로 영역화하였다. 그리고 이들 연구물을 검토함으로써 기저, 의미, 이해, 독해, 분석, 해석 등과 같은 교육과정 리터러시 요소들도 추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초등교사들이 교육과정 현장에서 어떻게 교육과정을 사용하는지 그 실제를 탐색함으로써 교육과정 리터러시의 요소를 보충하였다. 실제를 탐구한 결과, 인식, 구조, 공식, 의미라는 교육과정 리터러시의 요소가 발견되었다. 이는 교육과정 문서를 익히고 해독하는 것과 관련된 교육과정 리터러시로서 ‘앎’의 교육과정 리터러시, 즉 처방적 리터러시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사가 발휘하는 ‘사용함’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통해 교사가 생성해내는 교육과정 리터러시, 가령, 해석, 편성, 표현, 비판 등을 찾을 수 있었다. ‘사용함’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역량의 리터러시로, 교사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교사가 발휘하는 다양한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적극적으로 발굴․탐색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더 확장되고 더 풍부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탐색한, 교육과정 분야에서 활용․적용 가능한 하나의 the Practical로서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앎과 사용함이라는 두 층위에서 구분되어 나타남과 동시에 앎과 사용함의 관계함에 의해 층위의 나뉨 없이 나타나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요소는 교사의 앎이 깊어질수록, 사용함이 더욱 풍부해질수록 그 수준이 점차 심화․향상되기 때문에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음도 알게 되었다. 이런 교육과정 리터러시의 요소는 인식, 의미, 구조, 분석, 해석, 구성, 개발 등으로 나타나며, 이 요소들은 ‘학문→(국가)교육과정→교육과정 자료(교과서)→수업’의 모든 영역에서 발휘된다. 또한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1) 앎/사용함, 2) 수준, 3) 영역, 4) 요소가 만들어내는 3차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교사가 획득하고 발휘하는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3차원 공간으로 공간화함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고, 발휘하고 있는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드러낼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는 그 자체로 확장가능성, 변형가능성을 지니기에 언제든지 사용자가 변형,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