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교육공동체를 추구하는 가교 역할!

교육 봉사 모임

회의록(2017. 11. 24.)
  • 작성자 : 운영자
  • 등록일 : 2017-11-24
  • 조회수 : 595


#연령별 필요 교육 봉사


방법: 시민 봉사단, 대학 봉사 동아리/대학 전공생과 협력


*6-8: 수학, 국어(결손을 해소), 글쓰기 교육 봉사


*6살 미만: 정서(결손을 해소)-규칙을 가진 놀이 경험, 역할극(놀이터 보호자 봉사 등)


*중등: 협력 경험과 개념 조직 도움 봉사


*고등: 나를 찾고, 의지 진로 봉사


 Ex) 어렸을 때-1년 정도 자아탐색 기간 필요(나는 누구인가-정체성): 자기 반성 제공(자기 탐색-애니어그램)


*성인: 철학과 나를 발견해가는 것 도움 봉사


 


*이 자리가 유익함: 모르는 것들을 듣는 것+공공선+이 현실을 직시, 미래를 내다보는 눈(학교에서는 이런 것들을 함께 해야 함.)


 


#우리가 나아갈 길


-창조적 소비 운동 실시


-창조적 소비란: 소비를 위한 소비(예를 들어 음주가무)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세상에 유익한 소비(예를 들어 특정 문제에 대한 문제 해결, 만들기, 공통 주제를 함께 공부하는 것 등)를 함께 하도록 돕는 운동


-투자라는 단어 대신 소비를 쓴 까닭은 실패해도 괜찮다는 의미이며, ‘소비라는 것은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들인다는 의미임.


-Prosumer라는 개념처럼 제품 구입에 한정된 것과는 다르게 함께 평생 성장하고 시도한다는 관점에서 교육적 운동의 성격을 지님.


-공모전을 개최하거나 미래교육 또는 진로교육과 연계하여 평생교육 및 세상과 맞닿아 있는 교육을 확장해가고자 함.(대전 교육의 경쟁력 강화)


 


인원 모으는 기간(12월까지) 기수 단위(1) 10명 모집


<청년 지원 사업 필요> 영글(대전시 서포터즈 소속)+대전시 청년 사업


1. 교육 이슈에 대한 해결책 공모전(영향력)


2. 교육 봉사 조직


3. 진로교육


4. 미래교육


5. 공부 모임


임ㅇㅇ: 활동가


 


-창조적 소비(시간)-


나의 역량을 가치 있는 일에 사용할 수 있도록


나의 성장 기회


대전 내 청년들의 네트워크 확보


 


걱정: 현실성 테마가 너무 광범위하다.(예산 실현 가능성), 다른 일과 병행(열정을 부어야 함. 서포터 개념이라고 하면 판을 벌려주면 되는 것.), 직장인 모임으로는 꾸미면 어려울 것, 동기부여는 학생들이 가장 클 것임. 타겟을 정함. 학생들은 스펙 중요. 이런 활동에 목 멤.


 


*모집과 이슈의 연관성(기자단은 관심)


-교육 이슈-


-교육 봉사- 봉사인의 밤


-진로 교육- 목표: 학생들이 꿈을 가질 때 꿈에 해당하는 사람과 대화를 해볼 수 있게. 현업을 뛰고 있는 일반 직장인과 대화할 수 있는 통로.


 : 주변 인물. 직업의 현실(대신 긍정적 마인드 가진 사람-상호 시너지), 학부모와 직장인 매칭. 매칭에 판. 강연. 대학생을 꾸리면 학과 선배들 연결/ 각 회사 인사 담당자.


-미래 교육-


-영어 교육- 주체->교육, 영어 회화 스터디(영어 개발: 외국인-시간=돈과 토론 모임)


 : 영어 출중한데 대전 영어 팟캐스트 할 수 있는 것. 이걸 통해서 대전 내 학생들을(대학 청년 등) 해외 유학, 청년 취직할 수 있도록. 왜 영어가 필요한지 전달할 수 있는 사람. 단순 스펙이 아니라 왜 필요한가를 공감하고 함께할 수 있는 자원. 대전교육연구소 영어 팟캐스트(외국인 친구 초청 등) 지현님이 아실 듯. 지속성. 원하는 것을 올리는 개념. 해외 취업 잘한 사람 모셔서. 교육 컨텐츠 개발. 글을 읽고 전달.


대외활동(득달같이 달려듦.) 게시판(포맷) 계획->이상을 꾸며서 공지


내부부터 실천


 


  1. 단계별(우리부터)-2-3

  2. 활동가에게 소개해서 모집

  3. 학교에 홍보 3단계


 


본인에 맞는 테마


기획안


활동 내용


 


*기획안 작성법(강연)


-기획의 리더(시민교육지원팀 리더)


-경쟁 구도 하면 안됨.


-사람 보는 눈. 키워야.


-교사 매칭


 


<10>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