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교육공동체를 추구하는 가교 역할!

교육 봉사 모임

회의록(2017. 10. 13.)
  • 작성자 : 운영자
  • 등록일 : 2017-10-13
  • 조회수 : 430


2017. 10. 13. 정모 기록


자기소개 및 교육 관련 관심사


  1. 임ㅇㅇ님: 직무-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분석/ 관심사-직장 내 실무와 교육의 간극 줄이기

  2. 홍ㅇㅇ님: 직무-항공연구원/ 관심사-진로 교육(멘토-멘티), 교육 봉사

  3. 방ㅇㅇ님: 직무-시청 및 관공서 전자조달, CS 강사/ 관심사-교육 개선, 기여

  4. 황ㅇㅇ님: 직무-TESOL 교육 수료 중, 영어 관련 창업 준비 / 관심사-영어 교육,

  5. 김ㅇㅇ: 직무-초등교사, 대전교육연구소 운영위원회 및 연구위원/ 관심사- 지역 교육 발전


 


대전교육 연구소 소개


  1. 사단법인 대전교육연구소(대전시교육청 관할 비영리단체)

  2. 설립 취지 및 비전

  3. 연구소 사업(연구, 연수, 연대)

  4. 연구소 관심 주제(. 교육철학 연구, . 학교 제도 및 문화 개선, . 마을교육공동체)

  5. 시민교육지원팀에 대한 기대: 시민과의 소통의 끈, 교육연구소 인적자원, 자발성+지속가능성+개별 팀원에게 의미 있는 구심점 기관이 되고 싶은 마음(공공선 기여 혹은 사회발전, 자아실현 등)

      


앞으로의 방향성(무엇을 하든 대전에서는 선도적인 입장. 개개인의 인식 발전만 보더라도 의미 있는 작업)


  1. 격주 책 읽고 만나는 모임(일단 6개월정도 꾸준히 공통된 주제로 질적 역량 강화부터): 우선 선정한 주제는 마을교육공동체’ , 마을교육공동체란 지역의 교육인적자원을 발굴 및 연결하는 사업을 의미. (현재 교육연구소에서 대전 내 교육단체 인터뷰를 하고 있음. 역량 및 인적 자원이 모이면 마을교육지도 만들기 사업을 해보면 좋을 것 같음.)

  2. 질적 역량이 쌓인 후 각자 교육연구소 이름으로 소모임을 개설하여 소모임장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팀원 또는 연구소의 사업(연구, 연수, 연대) 인력으로 자신이 원하는 활동을 할 수 있음. 또한 공부 모임 참여만 하시더라도 굉장히 의미 있고 고마운 자원임.

  3. 다음 모임(10 27일 금 7-9)에서 이번 모임보다 구체화 한 아이디어(각자 자신이 할 수 있을만한 혹은 꿈꾸는 것에 밑그림)를 가져와서 이야기하기

  4. 10/27 모임에서 이야기 나눌 책은 마을학교’-:성미산 학교, 출판사:교육공동체 벗, 성미산 학교의 마을교육공동체 사례집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 시민 진로 모임 회의록(2017. 10. 13.) 운영자 2017-10-13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