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교육공동체를 추구하는 가교 역할!
2007년 대전지역 중․고생들의 생활의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보고서 요약
김영노(대전교육연구소 소장)
???? 이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의 청소년들이 어떤 생활을 하고 있으며, 그 생활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어떤 의식을 가지고 생활하고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진로와 미래의 직업에 대한 생각은 어떠한지, 학업성취도는 전국에서 어떤 수준에 도달되어 있는지, 그리고 대전지역의 중․고생들과 다른 지역의 중․고생들 간의 차이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부디 이 조사 결과가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지도하거나 정책을 수립해 나가는 데 소중한 지침서로 사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Ⅰ. 학교생활
1.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 고등학교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대하여, 52%만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학교 학생들 역시 53%의 학생들만이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대전지역의 중․일반고 학생들은 절반을 조금 웃도는 학생들만이 현재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느낌’은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33.2%, 중학교 학생들의 3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대전지역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해 약간 불만족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업시간 흥미도’와 ‘학생의 의사 반영도’는 별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학교에서의 공부할 분위기’와 ‘학교의 규율이나 생활지도의 엄격성’은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학가고 싶은 마음’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대전지역 중학교 학생들은 학교생활 전반에 대해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는 평범한 수준의 응답을 보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 수업시간의 흥미도’와 ‘학교 규율이나 생활지도의 엄격성’에 대한 만족도는 조금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교에서 공부할 분위기’와 ‘학생의 의사 반영도’는 약간은 불만이 있는 것으로, ‘전학가고 싶은 마음’은 별로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학교 시설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
????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은 ‘학교시설 및 교육환경’에 대해 전체적으로 보면 별 불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 건물과 교실 상태’, ‘학교 주변 교육환경’, ‘특별실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용이성’ 등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컴퓨터, 시청각 시설’에 대해서는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음을 나타냈고, ‘학교 운동장과 체육 시설’, ‘학교 도서관의 읽을 만한 장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었다.
???? 중학교 학생들은 ‘학교시설 및 교육환경’에 대해 별 불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전지역의 중학생들은 ‘특별실 이용에 대한 용이성’에 대해서 불만족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학교주변 교육환경’은 다소 불만족, ‘학교 건물과 교실 상태’는 만족하지도 불만족하지도 않는 수준이었으며, ‘컴퓨터, 시청각 시설’과 ‘도서실의 읽을 만한 장서수’, 그리고 ‘운동장 및 체육시설’에 대해서는 약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교 선생님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 중․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72%는 학교에 존경하는 선생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또한,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83%, 중학교 학생들의 60%는 학교에 좋아하는 선생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선생님을 좋아하는 것과 존경하는 것 사이에 구분을 두고 있었다. 한편, 대전지역의 학생들은 선생님들이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대해 관심을 갖거나 자신을 이해해주는가에 대한 응답에서는 50~60%만이 ‘예’라고 반응을 보여 좋아하거나 존경하는 경우보다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4. 친구와의 대화 내용
???? 일반계고등학생들의 경우, 대화 내용 1순위에서는 첫 번째가 공부 및 향후 진로(38%)였고, 두 번째가 취미(23%), 세 번째는 학교생활(18%), 네 번째로 연예인․TV(12%) 등이었으며, 정치․사회 문제나 종교․철학․문학 등은 거의 대화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순위에서는 첫째, 공부 및 향후 진로(32%) 둘째, 취미 활동 셋째, 학교생활 등이었으며, 정치․사회 문제나 종교․철학․문학에 대한 내용은 1순위 보다는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여전히 주요한 대화 내용에 들지 못했다.
???? 중학생들의 경우, 대화 내용의 1순위에서는 첫 번째 취미(게임, 음악, 운동, 영화, 독서 등)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53%), 두 번째는 학교생활(15%), 세 번째는 공부나 친구(8%), 그리고 쇼핑과 패션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화 내용의 2순위에서는 학교생활(27%), 연예인과 TV(18%), 친구(17%), 쇼핑과 패션 순으로 조사되었다.
Ⅱ. 가정 생활
1. 학생의 보호자
????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의 보호자는 양친이 모두 있는 경우가 91.7%